본문 바로가기
반응형

배드뱅크2

배드뱅크 완전정리 – 캠코·새출발기금·100% 탕감 배드뱅크는 위기 때마다 반복적으로 등장한 해법입니다. IMF 외환위기, 카드사태, 금융위기, 코로나 그리고 지금. 부실채권을 떼어내고 탕감하거나 조정하는 구조로, 2025년 새 정부에서는 ‘7년 이상 연체·5천만 원 이하 채권 100% 탕감’이라는 전례 없는 방식까지 추진되고 있습니다.1. 배드뱅크 개념1980년대 미국 ASB 사례에서 시작된 배드뱅크는 건전 자산과 부실 자산을 분리해 굿뱅크-배드뱅크 구조로 운영됩니다. ASB는 부실 자산을 떼어낸 후 정상화됐고, 이후 이 구조가 금융 시스템의 회생 장치로 자리잡았습니다.2. 한국 사례: 캠코와 국민행복기금1997 외환위기 → 캠코 출범 → 111조 부실채권 매입 → 46조 회수 (회수율 42%)2003 카드사태 → 한마음금융(이자만 감면), 희망모아(3.. 2025. 6. 27.
주빌리은행이란? 장기 연체자 채무탕감 지원받는 방법 이재명 대통령이 성남시장 시절 주도한 민간 채무탕감 기관 ‘주빌리은행’이 다시 가동될 전망입니다. 금융당국이 비영리법인도 부실채권을 매입할 수 있도록 자격 요건을 완화하면서, 장기 연체자들의 재기를 지원하는 제도적 기반이 마련되고 있습니다. 주빌리은행이란?2015년 8월 출범한 주빌리은행은 금융회사의 장기 연체 채권을 매입하여 소각하는 방식으로 개인 채무를 탕감해주는 비영리법인입니다. 연체된 채무자가 원금의 7%를 갚으면 나머지를 전부 소각해주는 방식으로 운영되었으며, 지금까지 약 5만 1,500명의 부실채권 8,100여억 원(원리금 기준)을 소각했습니다. 주빌리은행이란 무엇인가?주빌리은행(Jubilee Bank)은 2015년 이재명 당시 성남시장이 시민단체 및 금융전문가들과 함께 출범시킨 민간 비영리.. 2025. 6. 10.
반응형